자기애성 인격장애와 연극성 인격장애

by 피에로 posted Jun 30,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기애성 인격장애

자기애성 인격장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믿으며, 자신의 재능이나 능력을 과대평가한다. 그래서 사람들의 평가절하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남들의 평가에 굉장히 집착한다. 심한 경우에는 자기를 향한 공격성을 보이기도 하며 대체로 헌신적이지 못하며 주로 예술가형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DSM-IV-TR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지나치게 과장된 자존감, 칭찬에 대한 욕구, 그리고 감정이입의 결여와 같은 광범위한 양상이 초기 성인기에 시작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다음 중 5개 이상의 항목으로 나타난다.

  • 자신의 중요성에 대해 지나치게 과장된 자존감이 있음 (예 : 자신의 성취나 재능을 과장함, 뒷받침될만한 성취가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뛰어남을 인정받고자 함)
  • 끝없는 성공, 권력, 탁월성, 아름다움, 이상적인 사랑에 대한 공상에 빠진다.
  • 자신이 특별하고 독특해서 다른 특별하거나 상류층인 사람 또는 기관만이 자신을 이해할 수 있거나, 그런 사람들과만 어울려야 한다고 믿는다.
  • 과도한 찬사를 요구한다.
  • 특권의식 즉 특별대우를 받을 것에 대한 불합리한 기대감이나, 그럴만한 이유가 없는데도 특별대우나 복종을 바라는 불합리한 기대감을 가진다.
  • 대인관계가 착취적이다. 즉,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이용한다.
  •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 즉 타인의 감정이나 욕구를 인정하거나 자신의 감정 또는 욕구와 같은 선상에서 보려 하지 않는다.
  • 종종 타인들을 시기하거나, 타인들이 자신을 시기하고 있다고 믿는다.
  • 거만하고 방자한 행동이나 태도를 보인다.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연극성 인격장애는 정체성의 혼란을 가지며 행동이 매우 극적이며 주의를 끄는 행동을 많이 한다. 또, 감정적인 표현이나 피상적인 묘사나 부사를 남발하는 등 언어 사용에 특징이 있다. DSM-IV-TR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과도한 정서성과 주목에 대한 추구의 만연한 패턴이 성인기 초기에 시작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난다. 다음 중 5가지 이상의 항목을 충족시킨다.

  • 자신이 중심적인 관심의 대상이 아닌 상황에서 불편해한다.
  •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종종 부적절한 성적 유혹이나 도발적인 행동으로 이어진다.
  • 감정이 빨리 변하며 감정 표현이 피상적이다.
  • 신체의 매력을 이용하여 관심을 끌려고 한다.
  • 과도하게 인상주의적이면서 세부적인 것은 결여된 언어 양식을 보인다.
  • 자기 극화, 연극성, 그리고 과장된 정서 표현을 드러낸다.
  • 피함시성이 강하다. 즉, 다른 사람이나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 관계를 실제보다 더 친밀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http://ko.wikipedia.org/wiki/%EC%9D%B8%EA%B2%A9%EC%9E%A5%EC%95%A0에서 발췌했습니다.

 

 

 

 

역사학, 정치외교학, 경영학, 경제학, 회계통계, 컴퓨터공학, 기계공학

올해는 심리학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물론, 전공은 경영학과 컴퓨터공학을 복수 전공했지만요.

6개월마다 새로운 학문에 관심을 두고 학습하는 게 제 취미생활입니다.

 

연애를 기준으로 두 인격장애를 구분하자면,

자기애성 인격장애 (나르시시즘) - 내츄럴

연극성 인격장애 - 연애초보자

 

물론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한지요?